낚시터업자 낚시어선업자 낚시 전문교육 제공
작성자 정보
- 최고관리자 작성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- 1,623 조회
- 0 추천
- 0 비추천
- 목록
본문
낚시 전문교육 제공
낚시전문교육 시행을 통해 안전관리 및 수산자원보호 등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 및 수생태계를 보호
- 지원대상
○ 낚시터업자, 낚시어선업자(선원 포함)
- 선정기준
○ 교육 대상자 선정기준은 교육 유형에 따라 다름○ 낚시어선 전문교육: 낚시어선업자, 낚시어선에 승선하는 선원(선장, 선원, 조리장, 안전요원 등)○ 낚시터 전문교육: 낚시터업자○ 낚시어선 신규·재개자 전문교육: 낚시어선업 최초 신고자, 안전사고 발생으로 영업정지 후 영업을 재개하려는 낚시어선업자
- 지원내용
○ 낚시어선 전문교육- (교육대상) 낚시어선업자, 낚시어선 선원(선장·사무장·조리사·안전요원 등 포함)- (교육내용) 낚시어선 관련 법규 및 수산자원 보호, 해상교통 관련 법규, 선박안전 및 운항, 사고유형별 안전 및 비상조치- (교육시간) 매년 4시간 이상- (교육방법) 권역별 집합교육(코로나 19 등 감염병 확산 시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)○ 낚시터 전문교육- (교육대상) 낚시터업자- (교육내용) 낚시 관련 정책 및 법규, 어류생태 및 수질관리, 인명구조 및 응급조치, 낚시터 관리 및 운영- (교육시간) 매년 4시간 이상- (교육방법) 권역별 집합교육(코로나 19 등 감염병 확산 시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)○ 낚시어선 신규·재개자 전문교육- (교육대상) 낚시어선업 최초 신고자, 안전사고로 영업정지 후 영업을 재개하려는 낚시어선업자- (교육내용) 낚시어선 관련 법규 및 수산자원 보호, 선박운항 설비, 해상교통법규, 항해장비, 기관관리, 사고유형 및 비상대응조치, 소화훈련, 해상생존훈련 및 구명장비 사용법, 응급처치 및 승객안전관리 등- (교육시간) 매년 21시간 이상- (교육방법) 집합교육
- 신청기한
연중
- 신청방법
온라인 신청
- 제출서류
- 접수기관
한국어촌어항공단
- 문의처
한국어촌어항공단/1833-7139
관련자료
-
링크
-
이전
-
다음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